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용직 소득세 자동계산 방법 총정리

반응형

일용직으로 일하면서 소득세가 얼마나 나올지 궁금하셨죠? 매번 계산하기 복잡해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은데, 오늘은 일용직 소득세를 간단하게 자동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일용직 소득세 계산 공식

반응형

일용직 소득세는 일반 근로자와 달리 매일 분리과세로 처리됩니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천징수세액 = (일급여액 - 15만원) × 6% × (1-55%)

이를 간단히 하면 (일급 - 15만원) × 2.7%가 됩니다. 여기에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를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비과세 및 소액부징수 기준

반응형

일용직 근로자에게는 두 가지 중요한 혜택이 있습니다:

  • 일당 15만원까지는 완전 비과세 처리됩니다
  • 원천징수세액이 1,000원 미만인 경우 소액부징수로 징수하지 않습니다
  • 실질적으로 일당 18만7천원 이하면 세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실제 계산 예시

반응형

일당 20만원으로 5일 근무하는 경우를 계산해보겠습니다:

  1. 과세 대상 금액: 200,000원 - 150,000원 = 50,000원
  2. 일별 소득세: 50,000원 × 2.7% = 1,350원
  3. 5일 총 소득세: 1,350원 × 5일 = 6,750원
  4. 지방소득세: 6,750원 × 10% = 675원 → 670원(10원 미만 절사)
  5. 총 세금: 6,750원 + 670원 = 7,420원

매일지급 vs 일정기간지급 차이점

반응형

급여 지급 방식에 따라 세금 계산이 달라집니다:

  • 매일지급: 일당별로 소액부징수 판단하여 1,000원 미만이면 세금 없음
  • 일정기간지급: 전체 기간 세액 합계로 소액부징수 판단

자동계산 도구 활용법

반응형

복잡한 계산을 피하고 싶다면 온라인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급과 근무일수만 입력하면 소득세, 지방소득세, 4대보험료까지 자동으로 계산해줍니다.

주의사항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반응형

일용직 소득세 계산 시 다음 사항들을 꼭 기억하세요:

  • 일용근로소득은 연말정산 대상이 아닙니다
  • 원천징수로 납세 의무가 완전히 종료됩니다
  • 다른 소득이 없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도 없습니다
  • 1일 2개 이상 사업장에서 근무 시 사업장별로 계산합니다

QnA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반응형

일당 15만원 이하면 정말 세금이 없나요?
네, 15만원까지는 완전 비과세이므로 세금이 전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일당 18만7천원 이하도 세금이 없다고 하는데 맞나요?
맞습니다. 소액부징수 규정에 의해 원천징수세액이 1,000원 미만이면 징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여러 곳에서 일용직으로 일하면 어떻게 되나요?
각 사업장별로 개별 계산하여 소액부징수 여부를 판단합니다.

일용직도 4대보험에 가입해야 하나요?
1개월 미만 고용된 일용근로자는 고용보험에 가입해야 하며, 지급총액의 0.9%를 납부합니다.

세금 계산이 복잡한데 쉬운 방법이 있나요?
온라인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를 활용하면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마무리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일용직 소득세 계산은 생각보다 복잡하지만, 기본 공식과 비과세 기준만 알아두면 충분합니다. 일당 18만7천원 이하는 세금이 없고, 그 이상부터는 (일급-15만원) × 2.7%로 간단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계산을 원한다면 온라인 자동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