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권 당첨, 세금은 얼마나 낼까요?
복권에 당첨되면 기쁨도 잠시, 세금 걱정이 앞서게 마련입니다. 2025년 현재 복권 세금 기준과 실수령액 계산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복권 세금 기준 (2025년 최신)
복권 당첨금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당첨 금액에 따라 차등 과세됩니다.
- 200만원 이하: 비과세 (세금 없음)
- 200만원 초과~3억원 이하: 22% (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 3억원 초과: 3억원까지 22%, 초과분 33% (소득세 30% + 지방소득세 3%)
2023년부터 비과세 기준이 5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상향 조정되어 로또 3등(약 150만원)도 세금 없이 수령 가능합니다.
실수령액 계산 예시
로또 1등 20억원 당첨 시
- 3억원까지: 3억 × 22% = 6,600만원
- 17억원(초과분): 17억 × 33% = 5억 6,100만원
- 총 세금: 6억 2,700만원
- 실수령액: 13억 7,300만원
로또 2등 5천만원 당첨 시
- (5,000만원 - 1,000원) × 22% = 1,100만원 (세금)
- 실수령액: 3,900만원
복권 세금 신고 방법
복권 당첨금은 원천징수로 납세의무가 완료되어 별도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당첨금 지급 시 자동으로 세금이 차감되어 지급됩니다.
복권 구입비(1,000원)는 필요경비로 공제되므로 실제 과세 대상은 당첨금에서 1,000원을 뺀 금액입니다.
QnA
Q. 로또 3등도 세금을 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2023년부터 200만원 이하는 비과세이므로 로또 3등(약 150만원)은 세금 없이 전액 수령 가능합니다.
Q. 복권 당첨금을 연말정산에 신고해야 하나요?
A. 필요 없습니다. 복권 당첨금은 원천징수로 납세의무가 종결되어 별도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Q. 여러 번 당첨되면 세금이 합산되나요?
A. 각 당첨금별로 개별 계산됩니다. 회차와 관계없이 당첨금액에 따라 세율이 적용됩니다.
Q. 복권을 여러 장 샀는데 필요경비는 어떻게 되나요?
A. 당첨된 복권 1장의 구입비 1,000원만 필요경비로 인정됩니다.
마무리
복권 당첨금 세금은 당첨 규모에 따라 0%~33%까지 차등 적용됩니다. 200만원 이하는 세금이 없고, 그 이상은 자동으로 원천징수되니 별도 신고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행운의 당첨을 기원하며, 미리 세금 계산도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