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주요 세금 납부 일정을 놓치지 마세요!
7월은 한 해 중 가장 중요한 세금 납부의 달입니다. 재산세부터 부가가치세까지 다양한 세금의 납부 기한이 집중되어 있어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가산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25년 7월 세금 납부 일정을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재산세 납부 (7월 16일~31일)
7월의 가장 큰 세금은 바로 재산세입니다. 매년 6월 1일 기준 주택 및 건축물 소유자에게 부과되며,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주택분 재산세: 연세액의 1/2을 7월에 납부 (나머지 1/2은 9월)
- 건축물분 재산세: 7월에 전액 납부
- 선박·항공기분: 7월에 전액 납부
납부기한을 놓치면 3%의 가산금이 부과되고, 45만원 이상 미납 시 매월 0.66%씩 추가 가산금이 발생합니다.
부가가치세 1기 확정신고 (7월 25일까지)
사업자라면 꼭 챙겨야 할 부가가치세 1기 확정신고입니다. 2025년 1월~6월분 부가세를 7월 25일 금요일까지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 대상기간: 2025년 1월 1일 ~ 6월 30일
- 신고납부 기한: 7월 1일 ~ 7월 25일
- 대상자: 일반과세자, 세금계산서 발급 간이과세자
기타 월례 세무 신고
매월 반복되는 세무 신고도 놓치지 마세요:
- 원천세 신고납부: 7월 10일까지 (6월분)
- 종업원분 주민세: 7월 10일까지 (6월분)
- 4대보험료 납부: 7월 10일까지 (6월분)
편리한 납부 방법
세금 납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 온라인: 홈택스, 위택스, 인터넷뱅킹
- 모바일: STAX 앱,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 오프라인: 전국 은행, 우체국, 편의점(CU, GS25, 세븐일레븐 등)
- ARS: 1599-3900
신용카드 납부 시에도 수수료 없이 납부할 수 있어 포인트 적립 혜택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QnA
Q: 재산세를 분할납부할 수 있나요?
A: 재산세가 25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분납신청이 가능합니다. 관할 구청 세무과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Q: 부가세 신고를 못했는데 어떻게 하나요?
A: 기한 경과 후에도 신고는 가능하지만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빨리 신고할수록 가산세 부담이 줄어듭니다.
Q: 6월 중에 주택을 구입했는데 재산세를 내야 하나요?
A: 6월 1일 기준 소유자에게 부과되므로, 6월 1일 이후 구입하셨다면 매도인이 납부하게 됩니다.
Q: 세금을 신용카드로 내면 수수료가 있나요?
A: 대부분의 지방세와 국세는 신용카드로 납부해도 수수료가 없습니다. 오히려 카드 포인트를 적립받을 수 있어 유리합니다.
마무리
7월은 재산세와 부가가치세 등 주요 세금들의 납부 기한이 집중된 달입니다. 미리 일정을 확인하고 기한 내 납부하여 불필요한 가산금 부담을 피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납부를 활용하면 편리하고 빠르게 세금을 납부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