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근로소득 세율 계산 방법 완벽 정리

반응형

근로소득세, 왜 계산이 복잡할까요?

반응형

연말정산 시즌만 되면 많은 직장인들이 근로소득세 계산에 대해 궁금해하십니다. 내가 받는 월급에서 얼마나 세금을 내야 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계산되는지 알아두면 연말정산 때 당황하지 않을 수 있어요.

2025년 근로소득세율표

반응형

2025년 현재 적용되는 근로소득세율은 과세표준에 따라 6%부터 최대 45%까지 차등 적용됩니다.

  • 1,200만원 이하: 6%
  • 1,200만원 초과 ~ 4,600만원 이하: 15%
  • 4,6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24%
  • 8,800만원 초과 ~ 1억 5,000만원 이하: 35%
  • 1억 5,000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38%
  • 3억원 초과 ~ 5억원 이하: 40%
  • 5억원 초과: 45%

근로소득세 계산 단계별 방법

반응형

1단계: 총급여 확인
연간 받은 급여, 상여, 수당을 모두 합한 금액에서 비과세소득(식대, 출산수당 등)을 제외합니다.

2단계: 근로소득공제 적용
총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를 차감하여 근로소득금액을 계산합니다.

  • 500만원 이하: 총급여 × 70%
  • 500만원 초과 ~ 1,500만원 이하: 350만원 + (500만원 초과분 × 40%)
  • 1,500만원 초과 ~ 4,500만원 이하: 750만원 + (1,500만원 초과분 × 15%)
  • 4,500만원 초과 ~ 1억원 이하: 1,200만원 + (4,500만원 초과분 × 5%)

3단계: 소득공제 적용
기본공제(본인 150만원, 부양가족 1명당 150만원), 특별공제, 기타공제를 차감하여 과세표준을 구합니다.

4단계: 세율 적용
과세표준에 해당하는 구간의 세율을 누진적으로 적용합니다.

누진세 계산 예시

반응형

연봉 7,000만원인 직장인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1단계: 총급여 7,000만원
2단계: 근로소득공제 후 약 5,725만원
3단계: 각종 소득공제(기본공제 등) 후 약 5,000만원(과세표준)
4단계: 세금 계산

  • 1,200만원까지: 1,200만원 × 6% = 72만원
  • 1,200만원 초과 ~ 4,600만원: 3,400만원 × 15% = 510만원
  • 4,600만원 초과 ~ 5,000만원: 400만원 × 24% = 96만원

총 산출세액: 72만원 + 510만원 + 96만원 = 678만원

간편한 계산 방법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반응형

복잡한 계산이 부담스럽다면 국세청 홈택스의 간이세액표나 온라인 근로소득세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월급여액과 공제대상가족수만 입력하면 매월 원천징수될 세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QnA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반응형

연봉이 높아질수록 세금이 급격히 증가하나요?
누진세 시스템으로 인해 높은 구간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전체 소득에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에요.

원천징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나요?
네, 80%, 100%, 120%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월급에서 적게 떼고 싶으면 80%, 미리 많이 내고 싶으면 120%를 선택하세요.

비과세소득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월 10만원 이하의 식대, 출산수당, 보육수당, 학자금, 실비변상 성격의 여비 등이 있습니다.

간이세액표는 정확한가요?
간이세액표는 근사치이며, 연말정산에서 정확한 계산을 통해 최종 세액이 결정됩니다.

마무리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근로소득세 계산은 복잡해 보이지만 단계별로 이해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본인의 소득 구간을 파악하고, 각종 공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여 세금 부담을 줄여보세요.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국세청 공식 자료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반응형